통합검색 폼

희망찬 아침 평온한 저녁 행복한 정선 정선군소개

연혁

연혁

757
신라 경덕왕 16년 정선이라 개칭하여 명주(溟州)의 영현(領縣) 정선현이 됨
1018
고려 현종9년 명주(溟州)의 속현, 정선현(고려 현종9년에 그대로 명주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뒤에 승격 시켜 군으로 하였다)라고 하여 승격 연도 미상
1291
고려 충렬왕 17년 도원(桃源)으로 개칭
1310
고려 충선왕 2년 침봉(沈鳳)으로 개칭
1353
고려 공민왕 2년 정선(旌善)으로 환원
1895.05.26
강릉부 정선군이 충주부 정선군이 됨 (1895.05.026. 칙령 제101호)
1896.08.04
13도제 실시로 다시 정선군이 됨(1896.08.04. 칙령 제36호)
1906.10.01
강릉군으로부터 임계면과 도암면이, 평창군으로부터 신동면이 편입(8면)
1924.07.01
서면을 정선면에 병합(7면)
1931.04.01
도암면을 평창군에 편입(부령 제11호 1931.02.28.공포)(6면)
1935.12.25
정선면의 도암동, 백일동 일부가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에 편입 신동면 천포리 석항 일부가 영월군 상동면 봉상리에 편입(6면)
1973.07.01
정선면과 동면사북출장소가 각각 읍으로 승격(대통령령제6543호, 1973.03.12. 공포) (2읍 5면) 삼척면 하장면 가목리와 도전리가 임계면에, 명주군 왕산면 구절리와 남곡리가 북면에,신동면 천포리 일부가 영월군에 편입 (대통령령 제6543호, 973.03.12공포)
1980.12.01
신동면이 신동읍으로 승격(대통령령 제10050호,1980.10.21.공포)(3읍 4면)
1985.10.01
사북읍이 분할되어 고한읍과 사북읍으로 분읍 승격(대통령령 제11772호, 1985.09.26.공포)(4읍 4면 2출장소)
1986.04.01
북면 북평출장소가 북평면으로 승격(대통령령 제11874호, 1986.03.27.공포)(4읍 5면 1출장소)
1989.01.01
임계면 봉정리가 북면에 편입
2009.05.01
동면을 화암면으로, 북면을 여량면으로 명칭변경(정선군조례 제2157호, 2009.04.08.공포)
2009.11.01
임계면 골지리를 문래리로 명칭 변경(정선군조례 제2180호, 2009.10.20.공포)
담당부서 : 총무행정관
연락처 : 033-560-2233
최종수정일 : 2017-12-28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