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구·정원 현황
- 기구 현황
- 기구
- 본청 → 1실 13과 (64담당)
- 직속기관 → 보건소, 농업기술센터 (24담당)
- 사업소 → 수질환경사업소 (4담당)
- 읍면 → 4읍 5면 1출장소 (46담당)
인력 : 정원 629명 / 현원 604명
- 정·현원 현황
본청, 의회, 직속기관, 사업소, 읍, 면에 대한 정·현원 현황 안내입니다.
구분 |
계 |
본청 |
의회 |
직속기관 |
사업소 |
읍 |
면 |
정원 |
629 |
284 |
11 |
118 |
18 |
94 |
104 |
현원 |
604 |
284 |
11 |
120 |
17 |
85 |
87 |
결원 |
△25 |
- |
- |
2 |
△1 |
△9 |
△17 |
증원·증설 내역
- 2018 상반기 정원 조정 (’18.04.16. 개정)
- 총 정원
정무직, 일반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에 대한 정원 현황 안내입니다.
구분 |
계 |
정무직 |
일반직 |
연구직 |
지도직 |
현행 |
601 |
1 |
577 |
4 |
19 |
조정 |
606 |
1 |
581 |
4 |
20 |
증감 |
+5 |
- |
+4 |
- |
+1 |
※ (증원) 9명 / (감원) 4명 → (순증) 5명
- 2018 하반기 정원 조정 (’18.12.21. 개정)
- 총 정원
정무직, 일반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에 대한 정원 현황 안내입니다.
구분 |
계 |
정무직 |
일반직 |
연구직 |
지도직 |
현행 |
606 |
1 |
581 |
4 |
20 |
조정 |
629 |
1 |
604 |
4 |
20 |
증감 |
+23 |
- |
+23 |
- |
- |
※ (증원) 9명 / (감원) 4명 → (순증) 5명
기준인건비 대비 인건비 집행현황
(’18년 12월말기준 / 단위 : 백만원)
기준인건비 대비 인건비 집행현황에 대한 년도별 기준인건비 (A), 인건비 예·결산액, 공무원 정·현원, 비 고 (A-C) 안내입니다.
년도별 |
기준인건비 (A) |
인건비 예·결산액 |
공무원 정·현원 |
비 고 (A-C) |
예산액(B) |
결산액(C) |
정 원 |
현 원 |
2017년 |
50,876 |
50,025 |
45,380 |
601 |
607 |
5,496 |
2018년 |
54,056 |
56,401 |
미결산 |
629 |
604 |
미결산 |
※ 23명 증원에 따른 인건비 예상 소요액 1,679백만원
기준인건비 대비 인건비 집행현황
- 해당없음
- (’18.12.21.) 동계올림픽지원단 폐지 (한시기구)
전문임기제 운영현황
인력 재배치·효율화 계획
- 행정여건
- 날로 복잡 다양해지는 행정환경 변화와 행정 분야별 주민수요는 증가되는 추세이나, 자치단체의 한정적인 인원으로 늘어나는 행정수요 해결에 어려움이 따름
-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청년층 인구 부재로 지역의 전문 인력 채용 한계 및 채용된 인력의 빈번한 전출에 따른 수시 행정 공백 발생으로 주민불편 증가
- 개선방안
- 조직관리 효율화 방안
- 부서별 행정 수요 증감 진단을 통해 업무량에 따른 기능·인력 재배치 추진
- 정원의 2% 범위를 재배치 목표로 설정 추진
- 효율적 기능, 쇠퇴기능, 외부화 기능의 정원을 감원하여 국가 정책수요 및 지역현안 등 신규 행정 수요 정원으로 증원하여 운영
- 일시적 행정수요에 대하여 전담 TF팀 구성 운영을 통해 해소
- 인사관리 효율화 방안
- 신규 공무원 분산 배치 및 팀 멘토링제 실시 등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강화
- 인사교류 원칙 재정립 및 전보제한 강화(5년)를 통한 업무 공백 최소화 및 대체 인력 POOL 운영
- 휴식 신청 공무원에 대한 시간선택전환제 근무 권고 강화
- 일하는 방식 개선을 통한 업무 생산성 제고
- 보고 간소화, 회의문화 개선, 이중보고 관행 개선, 의전치중 행사문화 개선, 부서간 협업 소통 활성화 등
- 일·가정 양립 지원(연가 효율적 활용, 가정의 날 운영, 불필요한 야근 관행 개선 등)을 통한 인력 확충효과 제고
상급기관 조직감사·진단 결과
- 해당없음 (’19년 강원도 정기종합감사 수감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