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관리사업: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결핵예방 및 환자발견· 등록치료 사업을 통하여 결핵의 조기발견 및 치료로 건강증진을 도모
결핵이란: 결핵균에 의한 감염병으로서 감염성이 높아 제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인체의 모든 조직, 장기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폐결핵이 결핵전체의 90%로 가장 흔하다.
결핵의 증상: 기침이나기침이나 가래, 미열, 잠잘 때 식은 땀, 체중감소, 피로감, 식욕부진, 호흡곤란, 객혈 ※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증상이 2~3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검사가 필요합니다.
결핵의 감염 경로 : 결핵은 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퍼져 나온 결핵균에 들어 있는 작은 비말핵이 다른 사람의 폐를 통해 들어감으로써 감염됩니다. 감염이 되었다고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중 약 5~10%만 발병하게 됩니다. 가래 현미경검사에서 균이 나오는 것이 확인된 환자도 치료를 시작하여 2주가 지나면 거의 감염성이 없어집니다.
결핵의 진단 및 치료 :
진단 : 흉부엑스선검사와 객담검사
치료 : 결핵치료는 3~4가지의 약을 6~12개월 복용하게 됩니다. 결핵약을 복용하게 되면 초기에 증상은 현저히 좋아지지만 일정기간 동안 꾸준히 약을 먹어야 하며 치료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내성균 발현을 막고 병을 완치할 수 있습니다.
결핵의 예방 :
비시지 예방접종 : 생후 4주 이내 ※ 결핵환자 가족들은 증상이 없더라도 흉부엑스선검사가 필요